도서/자기계발 도서

지적 대화를 위한 넓고 얕은 지식 : 현실 너머 0. 진리

Chipmunks 2018. 4. 6.
728x90


진리란 무엇인가


절대적이고 보편적이며 불변하는 것


진리의 속성은 다음과 같다.

  • 절대성 : 아무런 제약이나 조건이 붙지 아니함
  • 보편성 : 모든 것에 두루 적용되는 공통적인 것
  • 불변성 : 모양이나 성질이 변하지 않는 것


진리에 대한 태도는 다음과 같다.

  • 있다 : 절대주의
  • 없다 : 상대주의
  • 모르겠다 : 불가지론
  • 상관없다 : 프래그머티즘, 실용주의


진리의 역사


  • 원시 : 자연신
  • 고대 : 신화
  • 중세 : 유일신
  • 근대 : 이성

근대에 와서 진리의 자리는 이성이 차지했다.

이성은 구체적으로 세 가지 근본적인 학문을 의미한다. 수학, 물리학, 철학은 다른 모든 학문이 가능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는 뿌리다.


그러나, 근대는 매우 빠르게 붕괴됐다.

  • 외적인 원인 : 세계대전
  • 내적인 원인 : 인간 이성의 한계가 학문 내부의 영역에서 스스로 드러남
    1. 수학 : 괴델의 '불완전성 정리'
    2. 물리학 : 하이젠베르크의 '불확정성 원리'
    3. 철학 : 파이어아벤트의 '인식론적 무정부주의'

1. 수학 : 괴델의 불완전성 정리

쿠르드 괴델은 20세기에 활동했던 수학자

제1불완전성 정리 : 적어도 하나의 자연수 이론이 포함된 형식적 체계 안에는 결정 부라능한 공식, 즉 그 자체로 증명이 불가능한 공식이 존재한다.

제2불완전성 정리 : 적어도 하나의 자연수 이론이 포함된 형식적 체계의 무모순성은 해당 체계 안에서는 증명될 수 없다.

즉, 하나의 특정 수학 체계는 자기 스스로의 무모순성을 증명할 수 없음을 항상 내포하고 있다.

2. 물리학 : 하이젠베르크의 불확정성 원리

하이젠베르크는 괴델과 같은 20세기에 활동한 이론 물리학자

불확정성 원리는 현대 양자역학의 근간을 이루는 개념이다. 거시 세계(우주와 같이 거대한 영역)의 물리 법칙이, 더 이상 미시 세계(원자나 전자 단위와 같은 소립자의 영역)에서 적용되지 않는다.

기존 물리학은 시간(t)에 대한 위치(s)와 속도(v)의 함수로, 움직임을 설명하고 예측하려 했다. 그러나, 소립자의 세계에서는 위치(s)를 정확히 파악하려 하면 속도(v)가 불확실해지고, 속도(v)를 정확히 측정하면 위치(s)가 불확실하다.

하나를 측정하는 순간, 다른 하나가 불확실해진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확률 개념을 도입한 양자역학이 탄생했다.

3. 철학 : 파이어아벤트의 인식론적 무정부주의

파이어아벤트는 20세기에 활동하며 근대 이성중심주의를 강하게 비판한 과학철학자였다.


당대 철학계는 엄밀한 과학적 방법을 채택하는 분위기로, 인문학과 사회학까지 그 분위기가 휩쓸렸다.

파이어아벤트는 과학사에서 역사적인 자료를 토대로 실제 과학의 합리적 이성의 검증 없이, 예술적이거나 정치적인 시각 같은 비이성적으로 이론이 발전할 수 있음을 보여줬다.


과학적 방법론만을 추구해야 할 이유와 근거는, 실제 역사와 현실을 고려할 때 그 어디에서도 찾을 수 없다.



근대를 넘어 현대가 탄성한다. 합리적 이성을 무너뜨려 탈출하고자 하는 현대의 의미는 다음과 같다. 근대를 의미하는 modern에 '후에', '다음에', '넘어서' 등을 의미하는 접두사 'post'를 붙여 'post-modern'이 현대의 의미가 됐다.


'이성'에 반하는, '반이성'이 현대의 특징이다. 합리성, 효율, 주체, 질서, 규율, 규칙 같은 근대적 속성들을 안으로부터 붕괴시킨다.


이념적인 측면은 다음과 같다. 중세와 근대는 이성의 '이분법'에 의존했다. 필연적으로 하나의 가치가 다른 가치를 억압하는 폭력을 수반한다. 포스트모던은 이를 비판하여 다양한 가치들을 인정하는 다양성과 다윈성을 추구해야만 한다는 것이다.


실천적인 측면은 1960년대 포스트모더니즘 운동으로 정치, 경제, 사회, 문화, 예술의 모든 영역을 아울러 근대의 계획을 해체해 기존에 소외되고 억압되었던 가치들을 복원하는데 초점을 맞췄다. 여성운동, 인종차별 철폐, 학생운동, 68혁명 등이 일어났다.


건축에서의 포스트모더니즘은 해체주의로 드러난다. 해제추의 건축의 특징은 비대칭적이고 불안정하며 기능적인 효율성을 배제한 양식이다. 근대 건축은 아파트로 상징되는 극단적인 효율성을 추구한 모습이다. 즉 우리가 살고 있는 네모난 고층 아파트는 근대 이성중심주의의 효율성이 만들어낸 결과물이다. 오늘날 그것들은 더 이상 아름답지 않고 인간적이지 않다.


해체주의 건축은 비효율적이다. 둥근 형태를 띠거나 균형이 잡히지 않아 마치 무너질 듯하며 공간을 낭비하여 비용을 증가시킨다. 그러나 잃어버린 건축적 아름다움을 돌려주고, 질서와 효율로 숨 막히는 도시 속에서 사유를 일으키며, 사람들 간의 관계를 회복시켜준다.




다시 정리하다 보니 한 편의 영화를 보는 느낌을 받았다. 내가 '지금' 발 딛고 있는 이 세상이 어떻게 변화했는지 일목요연하게 정리된 챕터였다.

댓글